맨위로가기

사도 안드레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도 안드레아는 예수의 열두 제자 중 한 명으로, 어부 출신이며 세례자 요한의 제자였다. 그는 예수가 세례를 받을 때 처음 만났으며, 예수의 부름을 받고 제자가 되어 복음을 전파했다. 안드레아는 성경에서 예루살렘 멸망, 오병이어 기적, 이방인의 요청 등과 관련된 언급이 있으며, 성령 강림 이후에는 예루살렘에서 복음을 전하다가 투옥되기도 했다. 전승에 따르면 그리스에서 X자형 십자가에 못 박혀 순교했으며, 이후 여러 지역의 수호성인이 되었고, 그의 십자가는 스코틀랜드 국기 등에서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도 안드레아 - 성 안드레아 십자
    성 안드레아 십자는 X자 형태의 문양으로, 성 안드레아의 순교 방식에서 유래되었으며 스코틀랜드의 국기로 사용되는 등 여러 국가 및 분야에서 상징으로 활용된다.
  • 사도 안드레아 - 성 안드레아 축일
    성 안드레아 축일은 성 안드레아를 기념하는 날로, 스코틀랜드, 루마니아, 바베이도스 등 여러 국가에서 국경일, 독립기념일 등으로 기념되며, 각 지역의 문화적 특색을 반영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기념된다.
  • 베싸이다 출신 - 필립보
    필립보는 갈릴래아 베싸이다 출신으로 예수의 열두 사도 중 한 명이며, 본래 세례자 요한의 제자였으나 예수를 만나 그의 제자가 되었고, 나타나엘을 예수에게 인도하였으며, 오병이어 기적, 헬라인들과의 만남 주선, 아버지에 대한 질문 등으로 복음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외경과 유물, 그리고 여러 교파에서 성인으로 공경받는다.
  • 베싸이다 출신 - 베드로
    베드로는 예수의 열두 제자 중 한 명으로, 예수로부터 "케파스"라는 이름을 받았으며, 어부 출신으로 예수의 부름을 받아 제자가 되어 사역과 초기 기독교 공동체 형성에 기여했고, 수난 과정에서 예수를 부인한 후 회개하였으며, 오순절 설교와 이방인 전도를 통해 기독교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사도 안드레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성 안드레아 (c. 1611) - 페터 파울 루벤스
"성 안드레아 (c. 1611) - 페터 파울 루벤스"
칭호사도, 순교자, 스코틀랜드의 수호성인
출생지베싸이다, 갈릴래아, 로마 제국
사망일60/70 AD
사망지파트라스, 아카이아, 로마 제국
공경하는 교파성인 공경을 하는 모든 기독교 교파
주요 성지파트라스 성 안드레아 대성당, 그리스; 성 마리아 대성당, 에든버러, 스코틀랜드; 성 안드레아와 성 알베르토 교회, 바르샤바, 폴란드; 두오모 대성당 (아말피) 과 사르자나 대성당 (사르자나), 이탈리아.
축일11월 30일
상징긴 흰 머리카락과 턱수염, 복음서 또는 두루마리를 들고, 성 안드레아 십자가에 기대고, 어망
수호스코틀랜드, 바베이도스, 조지아, 우크라이나, 러시아, 그리스, 키프로스, 루마니아, 파트라스, 부르고뉴, 산안드레스 (테네리페), 파라냐케 교구, 칸다바, 마신로크, , 사르자나, 피엔차, 아말피, 루카 (몰타), 마닐라 그리고 프로이센; 빅토리아 교구; 어부, 생선 장수, 밧줄 제작자, 섬유 노동자, 가수, 광부, 임산부, 정육점, 농장 노동자, 인후통 보호, 경련 보호, 열병 보호, 백일해 보호, 러시아 해군, 미국 육군 레인저
이름
의미남자다운

2. 생애

안드레아는 갈릴리 호수 북쪽 연안의 베싸이다 출신으로, 형 베드로와 함께 어부로 일했다.[63] 그는 본래 세례자 요한의 제자였으며, 세례자 요한이 예수 그리스도를 "하느님의 어린 양"으로 증언하는 것을 듣고 예수를 따르게 된 첫 제자 중 한 명이다.[64][60] 요한 복음서에 따르면 안드레아는 예수를 만난 후 즉시 형 시몬(베드로)에게 가서 "우리가 메시아를 만났소"라고 알리며 그를 예수께 인도했다.[19][60]

사도가 된 이후 성서에서 안드레아는 예수의 공생애 동안 여러 활동에 참여한 것으로 기록된다. 대표적으로 오병이어의 기적 때 빵과 물고기를 가진 소년을 예수께 데려왔으며,[68][61] 예수를 만나고자 찾아온 이방인들의 요청을 필립보와 함께 예수께 전달하는 역할을 하기도 했다.[69][62] 또한 올리브 산에서 베드로, 야고보, 요한과 함께 예수께 예루살렘의 멸망과 세상 종말에 대해 질문한 네 제자 중 한 명이었다.[67]

성령 강림 이후, 안드레아는 다른 사도들과 마찬가지로 복음 전파에 헌신했다. 초기 교회 역사가 에우세비우스오리게네스의 말을 인용하여 안드레아가 소아시아와 스키타이 지역에서 선교했으며, 흑해를 따라 볼가 강까지 이르렀다고 전했다. 이러한 전승으로 인해 안드레아는 루마니아러시아의 수호 성인으로 공경받게 되었다. 또한 전승에 따르면 그는 그리스 북부의 에피루스 등지에서도 활동했으며, 비잔티움의 첫 번째 주교로서 후계자로 스타키스를 임명했다고도 한다. 이 때문에 정교회의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은 안드레아를 초대 총대주교로 여긴다.

전승에 따르면 안드레아는 70년로마 황제 네로의 그리스도교 박해 시기에 로마 제국의 속주였던 아카이아(오늘날 그리스 지역)의 파트라스 시에서 체포되어 순교했다. 그는 에게오 총독의 심문 후 X자 형태의 십자가에 못 박혔다고 전해지는데, 이는 안드레아 자신이 그리스도(Χριστός)의 첫 글자인 'X' 형태의 십자가를 원했기 때문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이 X자형 십자가는 훗날 '성 안드레아 십자가'로 불리며 스코틀랜드러시아 해군 등의 상징으로 사용되었다. 순교 후 그의 유해는 콘스탄티노폴리스를 거쳐 여러 곳으로 옮겨졌다가, 현재는 일부가 그리스 파트라이와 이탈리아 아말피 등에 안치되어 있다.

2. 1. 초기 생애

카라바조의 ''성 베드로와 안드레아의 소명'' (1603–1606)


사도 안드레아는 갈릴리의 벳새다에 있는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으며,[8] 아버지는 요나였다.[10] 그의 출생 연도는 서기 5년에서 10년 사이로 추정된다.[9] 그의 이름 "안드레아"는 그리스어 ἀνδρεία|안드레이아grc에서 유래했으며 '남자다운, 용감한'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이 이름은 기원전 2~3세기부터 헬레니즘화된 유대인들 사이에서 흔하게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7] 이는 그의 가족이 어느 정도 문화적 개방성을 가졌음을 시사한다.[11] 그에게 기록된 히브리어아람어 이름은 없다.[7]

안드레아는 형 시몬 베드로[10] 야고보, 요한 형제와 함께 갈릴리 호수에서 어부로 일했다.[63][59] 그는 본래 세례자 요한의 제자였다.[63][60]

예수 그리스도가 요르단강에서 세례자 요한에게 세례를 받을 때 안드레아가 그를 처음 만났다고 전해진다. 이때 세례자 요한은 예수를 가리켜 “이 세상의 죄를 없애시는 하느님의 어린 양이 저기 오십니다” 라고 말했다.[64][60] 요한 복음서에 따르면, 다음 날 안드레아는 다른 제자(전통적으로 사도 요한으로 여겨짐)와 함께 있다가 다시 예수를 보았고, 스승 세례자 요한으로부터 예수가 약속된 메시아라는 말을 듣고 그를 따르기 시작했다. 예수가 어디에 머무는지 묻자, 예수는 그들을 자신의 거처로 데려가 제자로 삼았다.[60]

반면 마태오의 복음서와 마가 복음서에서는 예수께서 갈릴리 호수에서 형 베드로와 함께 고기잡이하던 안드레아에게 "나를 따르라. 너희가 사람을 낚는 어부가 되도록 하겠다"[65]라고 말씀하시자, 그들이 즉시 그물을 버리고 예수를 따랐다고 기록한다.[66][59] 사도 명단에서는 통상 베드로, 야고보, 요한에 이어 네 번째로 언급된다.[59]

2. 2. 예수의 제자

안드레아는 요르단강에서 멀지 않은 갈릴리 호수 북쪽 연안의 베싸이다 지방에서 요한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형 베드로와 제베대오의 두 아들인 야고보, 요한과 함께 어부로 살았다.[63] 안드레아는 본래 세례자 요한의 제자였으며, 예수 그리스도가 세례자 요한에게 세례를 받을 때 처음 만났다. 세례자 요한은 예수를 가리켜 “이 세상의 죄를 없애시는 하느님의 어린 양이 저기 오십니다” 라고 증언했다.[64]

요한 복음서에 따르면, 이튿날 안드레아는 다른 제자(전승에 따르면 요한)와 함께 있다가 다시 예수를 보았다. 스승 세례자 요한으로부터 예수가 약속된 구세주인 메시아라는 말을 들었던 두 사람은 예수의 뒤를 따라갔다. 예수가 뒤돌아보며 무엇을 찾는지 묻자, 그들은 예수가 묵는 곳을 물었고, 예수는 "와서 보라"고 답하며 그들을 자신의 거처로 데려갔다. 안드레아는 그날 예수와 함께 지내며 그를 메시아로 확신하고, 즉시 형 시몬(베드로)에게 가서 "우리가 메시아를 만났소"라고 알리며 그를 예수께 데려왔다.[19][60] 이 일로 비잔틴 교회 전통에서는 안드레아를 '처음 부름받은 자'라는 의미의 '''Πρωτόκλητος|프로토클레토스grc'''라는 호칭으로 존경한다.[11]

마태오의 복음서[12][65]와 마르코 복음서[13][59]는 조금 다르게 기록한다. 예수께서 갈릴리 호숫가를 지나가시다가 어부로 일하던 시몬 베드로와 안드레아 형제를 보시고 "나를 따르라. 너희가 사람을 낚는 어부가 되도록 하겠다"(ἁλιεῖς ἀνθρώπωνgrc)[66]고 부르시자, 그들은 즉시 그물을 버리고 예수를 따랐다고 전한다. 마르코 복음서 1장 29절에 따르면, 예수의 공생애 초기에 안드레아와 베드로 형제는 가버나움의 같은 집에 살았다.[7]

루카 복음서[14]에는 베드로가 밤새 고기를 잡지 못하다가 예수의 말씀에 따라 그물을 내려 엄청난 양의 고기를 잡는 기적 이야기가 나오는데, 이 과정에서 안드레아의 이름이 직접 언급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베드로가 다른 배의 동료들에게 도움을 청했다는 기록[15]과 다음 장[16]에서 안드레아가 베드로의 형제로 언급되는 점을 고려할 때, 안드레아도 그 자리에 함께 있었을 것으로 여겨진다.[17]

사도가 된 후, 복음서에서 안드레아는 예수의 가까운 제자 중 한 명으로 여러 중요한 사건에 등장한다. 그는 오병이어의 기적 때 빵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를 가진 소년을 발견하여 예수께 데려왔고,[68][11][61] 예수를 만나고 싶어하는 그리스인들이 찾아왔을 때 필립보와 함께 그 요청을 예수께 전달하는 역할을 했다.[69][20][62] 또한 마르코 복음서 13장 3절에 따르면, 안드레아는 베드로, 야고보, 요한과 함께 올리브 산에서 예수께 예루살렘의 멸망과 세상 종말의 징조에 대해 개인적으로 질문했던 네 제자 중 한 명이었다.[67][21] 그는 최후의 만찬에도 참석했다.

2. 3. 성령 강림 이후

성령 강림 이후, 안드레아는 다른 사도들과 함께 체포되어 감옥에 갇혔으나 천사의 도움으로 풀려났다. 다음 날 아침, 그는 곧바로 예루살렘 성전으로 가서 다시 복음을 전파하다가 제사장들에게 붙잡혀 법정으로 끌려가 심한 매질을 당한 뒤 풀려났다.

성 안드레아상, 성 베드로 대성당


위경인 ‘사도 안드레아의 행전’은 역사적 사실로 보기 어려운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나, 전승에 따르면 안드레아는 그리스 북부 지방인 에피루스(Epirus) 등지에서 선교 활동을 펼쳤고, 자신의 후계자로 스타키스 주교를 임명했다고 전해진다.

70년경, 로마 황제 네로가 그리스도교를 대대적으로 박해하던 시기에 안드레아는 로마 제국의 속주였던 아카이아(오늘날의 그리스 지역)의 파트라스 시에서 체포되었다. 그는 에게오 총독에게 심문을 받은 후 X자 형태의 십자가에 못 박혀 순교했다. 안드레아가 X자형 십자가를 선택한 이유는 그리스어로 X가 그리스도(Χριστός)라는 단어의 첫 글자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형장으로 끌려갈 때 안드레아는 십자가 앞에 무릎을 꿇고 “오, 영광의 십자가여! 너를 통해 우리를 구원하신 주님께서 지금 나를 부르시는구나! 속히 나를 이 세상에서 주님 곁으로 이끌어다오.”라고 기쁨에 찬 기도를 바쳤다고 전해진다. 이러한 이유로 그를 묘사한 그림이나 조각상에는 종종 십자가를 든 모습으로 표현된다.

십자가에 매달린 이틀 동안 안드레아는 계속해서 군중을 향해 설교했다. 이를 안타깝게 여긴 군중이 십자가형을 명령한 집행관에게 안드레아를 십자가에서 내려달라고 요청했다. 집정관은 군사들에게 명령하여 그를 십자가에서 내리게 했다. 안드레아가 십자가에서 내려오자 갑자기 하늘에서 빛이 내려와 그를 비추었고, 빛이 사라지는 순간 그는 숨을 거두었다고 한다.

안드레아의 유해는 원래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안치되었으나, 357년 콘스탄티우스 2세 황제의 지시에 따라 그리스의 파트라이로 옮겨졌다. 이후 1208년에는 이탈리아 아말피에 있는 성 안드레아 성당으로, 15세기에는 그의 두개골이 로마의 성 베드로 대성당으로 옮겨졌다. 1964년 9월, 교황 바오로 6세그리스 정교회와의 화해와 친교의 표시로 그의 유해를 다시 파트라이로 보내 현재에 이르고 있다.

2. 4. 선교 활동과 순교

성령 강림 이후, 안드레아는 다른 사도들과 함께 체포되어 감옥에 갇혔으나 천사의 도움으로 탈옥했다. 다음 날 아침, 그는 곧장 예루살렘 성전으로 가서 다시 복음을 전하다가 제사장들에게 붙잡혀 법정으로 끌려가 심하게 매질을 당한 뒤 풀려났다.

에우세비우스오리게네스가 "안드레아는 소아시아와 스키타이에서 전도하고, 흑해를 따라 볼가 강까지 갔다"고 말했다고 전한다. 이 때문에 안드레아는 루마니아러시아의 수호 성인이 되었다. 안드레아는 루마니아에서는 '''Andrei|안드레이ron''', 러시아에서는 '''Андрей Первозванный|안드레이 페르보즈반니이rus'''라고 불린다. 전설에 따르면 안드레아는 비잔티움의 첫 번째 주교였으며, 자신의 후계자로 스타키스 주교를 임명했다고 한다. 이로 인해 정교회의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은 초대 총대주교를 안드레아로 여긴다. 또한, 위경 ‘사도 안드레아의 행전’과 전승에 따르면 안드레아는 그리스 북부 지방의 에피루스(Epirus) 등지에서도 선교 활동을 펼쳤다.

사도 안드레아의 십자가형. 바실 2세의 메놀로기온의 미니어처.


안드레아는 서기 60년경[21] 또는 70년로마 황제 네로의 대대적인 그리스도교 박해 시기에 로마 제국의 속주였던 아카이아(오늘날 그리스 전역)의 파트라스 시에서 체포되었다. 그는 에게오 총독에게 심문을 받고 십자가형으로 순교했다고 전해진다.[21]

초기 기록인 투르의 그레고리에게 알려진 안드레아의 행적(6세기) 등은 안드레아가 예수가 못 박힌 것과 같은 라틴 십자가에 못 박힌 것이 아니라 묶였다고 묘사한다. 그러나 후대에 안드레아가 예수와 같은 형태의 십자가에 못 박히는 것을 합당치 않다고 여겨, 스스로 X자 형태의 십자가를 요청했다는 전승이 생겨났다. 이 X자형 십자가는 현재 일반적으로 "성 안드레아 십자가"로 알려져 있다. 안드레아가 이 십자가를 선택한 이유는 그리스어로 'X'가 그리스도(Χριστός)라는 단어의 첫 글자이기 때문이라고도 한다. 안드레아가 X자형 십자가에 묶여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상은 후기 중세 시대까지는 표준화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형장에 끌려갔을 당시 안드레아는 십자가 앞에 무릎을 꿇고 양손을 높이 들며 “오, 영광의 십자가여! 너를 통하여 우리를 구속하신 주님께서는 지금 나를 부르시는가! 속히 나를 이 세상에서 끌어올려 주님의 곁으로 가게 해 다오”라고 기쁨에 찬 기도를 바쳤다고 한다. 그래서 그를 묘사한 그림이나 조각상에는 십자가를 든 모습이 많다. 십자가에 매달린 이틀 동안 안드레아는 계속해서 군중들을 향해 설교를 했고, 이를 보다 못한 군중이 집행관에게 안드레아를 십자가에서 내려줄 것을 요청했다. 집정관이 요청에 따라 군사들에게 그를 십자가에서 내리게 하자, 갑자기 하늘에서 빛이 내려와 그를 비추었다. 빛이 한동안 그를 감싸다가 하늘로 올라간 순간 안드레아는 숨을 거두었다고 전해진다.

안드레아의 유해는 원래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안치되었다가, 357년 콘스탄티우스 2세의 지시에 따라 그리스의 파트라이로 옮겨졌다. 그 후 1208년에는 이탈리아 아말피에 있는 성 안드레아 성당으로 옮겨졌고, 15세기에는 그의 두개골이 로마의 성 베드로 대성당으로 옮겨졌다. 그러다가 1964년 9월, 교황 바오로 6세그리스 정교회와의 화해와 친교의 표시로 그의 유해(두개골)를 다시 파트라이로 보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안드레아는 가톨릭 교회, 정교회, 성공회 등 여러 기독교 교파에서 성인으로 공경받는다. 그는 앞서 언급된 루마니아러시아 외에도 스코틀랜드그리스의 수호 성인으로 여겨진다. 안드레아가 처형당했다고 여겨지는 X자형 십자가는 "성 안드레아 십자가"라고 불리며, 안드레아를 수호 성인으로 하는 인물이나 단체의 문장에 널리 사용된다. 대표적인 예로는 스코틀랜드의 국기인 "성 안드루 깃발"(파란 바탕에 흰색 X자 십자가)과 러시아 해군군함기인 "성 안드레이 깃발"(흰색 바탕에 파란색 X자 십자가)이 있다. 러시아에는 орден Святого Андрея Первозванного|오르덴 스뱌토고 안드레야 페르보즈반노고rus라는 이름의 훈장도 존재한다.

부르고뉴 공작 필리프 3세는 안드레아를 수호 성인으로 하는 금양모 기사단을 창설하고, 흰색 바탕에 붉은색 성 안드레아 십자가를 기사단 및 공국의 깃발로 사용했다. 이 깃발은 기사단을 계승한 스페인 및 스페인령 네덜란드에서도 사용되었다.

3. 유해

안드레아의 유해는 원래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안치되었으나, 357년 로마 황제 콘스탄티우스 2세의 명령으로 그리스의 파트라이에 있는 성 사도 교회로 옮겨졌다.

스코틀랜드와 관련된 전설도 있다. 파트라스의 수도사 레굴루스(Regulus 또는 Rule)가 꿈에서 천사의 지시를 받아 안드레아 유해 일부(무릎뼈, 위팔뼈, 손가락 세 개, 이빨 등)를 가지고 '땅끝'으로 향하다가 스코틀랜드 파이프 해안에 난파되어 그곳에 유물을 안치했다는 이야기다. 다만, 이 유물은 597년 그레고리 선교나 732년 헥스햄의 아카 주교를 통해 영국으로 옮겨졌을 가능성도 제기된다.[19]

1208년 제4차 십자군 당시 콘스탄티노플 약탈 이후,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남아 있던 유물은 카푸아의 베드로 추기경에 의해 이탈리아 아말피로 옮겨졌다.[28] 아말피에는 아말피 대성당이 세워졌고, 지하 묘지에 안드레아의 유물 대부분이 보관되었다고 전해진다.

한편, 비잔티움 제국이 멸망 위기에 처하자, 모레아의 통치자였던 토마스 팔레올로고스는 1461년 이탈리아로 망명하면서 안드레아의 두개골이라고 주장하는 유물을 가져와 교황 비오 2세에게 바쳤다. 이 두개골은 로마의 성 베드로 대성당과 피엔차에 안치되었다. 다만, 두개골은 그 이전인 9세기경 비잔티움 제국의 바실리오스 1세 황제(재위 867-886)에 의해 파트라스로 한 차례 반환된 적이 있다는 기록도 있다.[27]

파트라스 성 안드레아 대성당 - 성 안드레아의 유물이 보관되어 있다.


이후 가톨릭교회와 그리스 정교회 간의 관계 개선 노력 속에서, 1964년 9월 교황 바오로 6세바티칸에 보관되어 있던 안드레아의 두개골을 그리스 정교회에 반환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교회 간의 화해와 친교를 위한 중요한 제스처로 평가받는다. 오귀스탱 베아 추기경이 이끄는 대표단이 1964년 9월 24일 그리스 파트라스에 두개골을 전달했다.[29][30]

안드레아가 순교할 때 사용된 것으로 전해지는 X자형 십자가는 십자군 전쟁 시기 부르고뉴 공작에 의해 그리스에서 프랑스로 옮겨져 마르세유의 성 빅토르 수도원에 보관되었다.[31][32] 이 십자가 역시 1980년 1월 19일 로제 에체가라이 추기경이 이끄는 가톨릭 대표단에 의해 파트라스로 반환되었다.

현재 안드레아의 유물(작은 손가락, 두개골 일부, 순교 십자가 등)은 그리스 파트라스의 파트라스 성 안드레아 대성당 특별 신사에 보관되어 있으며, 매년 그의 축일인 11월 30일에 특별한 의식으로 공경받는다.

현재 성 안드레아의 유물이 보관된 주요 장소
국가도시장소비고
그리스파트라스파트라스 성 안드레아 대성당두개골 일부, 손가락, 순교 십자가 등 주요 유물 보관[29][30]
이탈리아아말피아말피 대성당1208년 이후 유물 상당수 보관[28]
이탈리아사르차나사르차나 대성당[2]
스코틀랜드에든버러성 마리아 대성당[19]
폴란드바르샤바성 안드레아와 성 알베르트 교회



이 외에도 전 세계 여러 곳에 작은 유물들이 분산되어 보관되고 있다.

2006년에도 로제 에체가라이 추기경을 통해 가톨릭 교회가 또 다른 안드레아의 유물을 그리스 정교회에 전달하는 등,[33] 교회 간의 교류와 화해의 상징으로 유물 반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4. 전승과 유산



성령 강림 이후, 안드레아는 다른 사도들과 함께 복음을 전파하다 체포되어 매질을 당하기도 했다. 위경 ‘사도 안드레아의 행전’에는 그의 활동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으나, 역사적 사실 여부를 판단하기는 어렵다. 전승에 따르면 안드레아는 그리스 북부 에피루스 등지에서 선교했으며, 스타키스를 후계 주교로 임명했다고 한다. 에우세비우스오리게네스를 인용하여 안드레아가 소아시아와 스키타이에서 전도하고 흑해 연안을 따라 볼가 강까지 갔다고 전하기도 했다.

70년로마 황제 네로 시대의 그리스도교 박해 속에서, 안드레아는 로마 제국아카이아 속주(오늘날 그리스)의 파트라스 시에서 체포되었다고 전해진다. 그는 에게오 총독에게 심문을 받고 X자 형태의 십자가에 못 박혀 순교했다고 알려져 있다. 안드레아가 X자형 십자가를 선택한 이유는 그리스어그리스도(Χριστός)라는 단어의 첫 글자가 X이기 때문이라는 전승이 있다. 형장으로 가면서 그는 십자가를 향해 기쁨에 찬 기도를 바쳤다고 하며, 이 때문에 그를 묘사한 그림이나 조각상에는 종종 십자가가 함께 등장한다. 십자가에 매달린 이틀 동안에도 그는 계속해서 군중에게 설교했으며, 그의 죽음 직전 하늘에서 빛이 내려와 그를 비추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안드레아의 유해는 원래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안치되었다가 357년 콘스탄티우스 2세의 명령으로 그리스의 파트라이로 옮겨졌다. 이후 1208년에는 이탈리아 아말피의 성 안드레아 대성당으로 옮겨졌고, 15세기에는 그의 두개골이 로마의 성 베드로 대성당으로 옮겨졌다. 1964년 9월, 교황 바오로 6세그리스 정교회와의 화해와 친교의 표시로 그의 유해(두개골)를 다시 파트라이로 보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안드레아는 스코틀랜드, 러시아, 루마니아, 우크라이나 등 여러 국가와 도시의 수호성인으로 공경받고 있으며, 비잔티움 교회의 창시자이자 초대 주교로 여겨져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의 수호성인이기도 하다. 그가 순교할 때 사용되었다고 전해지는 X자형 십자가는 '성 안드레아 십자'로 불리며 스코틀랜드의 국기 등에 사용되는 등 중요한 상징으로 여겨진다. 그의 축일은 11월 30일이다.

4. 1. 여러 지역의 수호성인

조지아의 킨트비시 수도원에서 가져온 성 안드레아를 묘사한 13세기 프레스코화


조지아 정교회의 전통에 따르면, 안드레아는 조지아 지역에서 기독교를 처음으로 전파한 인물이며 조지아 교회의 창시자로 여겨진다. 이러한 전통은 파플라고니아의 니케타스(c. 890년 사망)와 같은 비잔틴 자료에 근거하는데, 그는 안드레아가 캅카스 이베리아인, 사르마티아인, 타우리인, 스키타이인 및 흑해 연안의 모든 지역과 도시에 복음을 전했다고 주장한다. 이 내용은 10~11세기 조지아 성직자들에 의해 채택되어 조지아 연대기에 포함되었다. 안드레아의 조지아 선교 이야기는 조지아 교회의 사도적 기원을 확립하고, 안티오키아 교회의 간섭에 대항하는 게오르기 핫지오리트의 논거로 사용되었다. 또한, 에프렘 므츠이레는 안드레아의 이야기를 4세기 성 니노에 의한 조지아인들의 개종 역사와 조화시키려 시도했다. 조지아 정교회는 매년 5월 12일과 12월 13일에 성 안드레아를 기리는 축일을 지낸다. 특히 5월 12일은 안드레아가 조지아에 도착한 날을 기념하며 조지아의 공휴일이다.

키프로스 전승에 따르면, 안드레아가 탄 배가 항로를 벗어나 좌초되었는데, 해안에 도착한 안드레아가 지팡이로 바위를 치자 치유의 샘이 솟아났다고 한다. 이 샘물로 한쪽 눈이 멀었던 선장의 시력이 회복되었다. 이후 이곳은 순례지가 되었고, 12세기에는 요새화된 수도원인 사도 안드레아스 수도원[42]이 세워졌다. 아이사키오스 콤네노스는 이곳에서 리처드 1세에게 항복 협상을 했다고 전해진다. 15세기에는 해안 근처에 작은 예배당이, 18세기에는 현재의 주요 수도원이 지어졌다. 수도원과 관련된 유명한 이야기로는 1895년 아들을 납치당한 마리아 게오르기우의 이야기가 있다. 17년 후 안드레아가 꿈에 나타나 수도원에서 아들의 귀환을 기도하라고 했고, 그녀는 키프로스로 가는 배에서 우연히 자신의 아들과 재회했다는 내용이다.[42] 사도 안드레아스 수도원( Απόστολος Ανδρέας|아포스톨로스 안드레아스el )은 키프로스 섬 북동쪽 끝 사도 안드레아스 곶 남쪽에 위치하며, 키프로스 정교회에 중요한 장소이다. 한때 '키프로스의 루르드'로 불렸으며, 그리스계 키프로스인과 터키계 키프로스인 모두에게 성스러운 장소로 여겨져 많은 이들이 서원 기도를 위해 방문한다.

성 안드레아 틈새 (루카)


성 안드레아(산트 안드리자)는 몰타 루카의 수호성인이다. 전통 축일은 7월 첫 번째 일요일이며, 전례 축일은 11월 30일이다.[43] 루카에는 그를 기리는 2층 높이의 틈새가 있다. 안드레아에게 헌정된 작은 예배당에 대한 첫 기록은 1497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이 예배당에는 세 개의 제단 중 하나가 안드레아에게 봉헌되었다. 몰타 예술가 필리포 딩글리가 그린 "성 안드레아와 바오로와 함께 있는 성모 마리아" 그림이 있었다. 과거 루카 마을에 많은 어부들이 살았기 때문에 어부들의 수호성인인 안드레아를 주 수호성인으로 선택했을 가능성이 있다. 안드레아 조각상은 1779년 주세페 스콜라로가 나무로 조각했으며, 여러 차례 복원되었다. 교회의 주 제단에 있는 "성 안드레아의 순교" 그림은 1687년 마티아 프레티가 그렸다.

이온 코르빈 인근의 성 안드레아 동굴 입구, 콘스탄차 주


성 안드레아는 루마니아의 수호 성인이다. 루마니아 정교회는 안드레아가 다키아인들에게 복음을 전파하고 그들을 기독교로 개종시켰다고 공식적으로 인정한다. 이 전승은 20세기까지 널리 퍼지지 않았으나,[44] 유세비우스의 『교회사』 등 초기 기록에 의해 뒷받침된다. 안티오키아의 히폴리투스, 오리게네스, 유세비우스 등의 기록에 따르면 안드레아는 스키타이 지역에서 설교했는데, 이는 현대 루마니아와 불가리아의 도브루자 지역에 해당하는 스키티아 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히폴리투스는 안드레아가 트라키아인들에게도 설교했다고 기록했다. 루마니아어의 기독교 관련 어휘가 라틴어에서 유래했다는 점은 다코-로마 기독교의 오랜 역사를 시사하지만,[45] 일부 현대 루마니아 학자들은 초기 기독교화 주장에 회의적이며, 이를 원시 연대기주의의 일부로 보기도 한다. 반면 이안-아우렐 팝과 같은 역사가들은 루마니아가 주변 민족 중 가장 먼저 기독교를 받아들였다고 주장하며,[46] 3세기까지 로마 다키아 속주에서의 기독교 개종이 루마니아인의 기원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본다. 학자 미르체아 엘리아데는 자몰크시스교와 기독교 사이의 구조적 유사성을 지적하며 초기 개종 가능성을 높게 평가했다.[47] 만약 안드레아가 도브루자에서 설교했다면, 루마니아 기독교는 사도적 기원을 갖게 된다.[44][48]

라드지빌 연대기에 묘사된 성 안드레아의 키예프 예언


우크라이나 기독교 초기 역사에 대한 전승에 따르면, 사도 안드레아는 오늘날 우크라이나 남부 흑해 연안에서 설교했다. 원초 연대기에 기록된 전설에 의하면, 그는 시노페에서 출발하여 케르소네소스를 거쳐 드니프로 강을 따라 올라가 미래의 키예프 자리에 도착했다. 그곳에 십자가를 세우고 위대한 기독교 도시의 건립을 예언했으며, 현재 그 자리에는 키예프의 성 안드레아 교회가 서 있다.[49] 이후 북쪽으로 여행하여 미래의 벨리키 노브고로드 근처 노브고로드 슬라브인들을 방문했으나 그들의 관습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고, 로마를 거쳐 시노페로 돌아갔다고 한다. 이러한 키예프 및 노브고로드와의 연관성 때문에 안드레아는 키예프 루스에서 파생된 우크라이나러시아동슬라브족 국가의 수호 성인으로 여겨진다. 러시아는 성 안드레아 십자러시아 해군 군함기에 사용하고 있다.

솔테어 (또는 "성 안드레아 십자가")는 스코틀랜드 국기이다.


스코틀랜드에서는 안드레아의 유물이 신의 인도로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오늘날 세인트앤드루스 (스코틀랜드 게일어: ''Cill Rìmhinn'')로 옮겨졌다는 여러 전설이 전해진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기록에 따르면, 안드레아의 유물은 성 레굴루스에 의해 픽트족 왕 오엥구스 1세 (729–761)에게 전해졌다. 또 다른 설에 따르면, 유물은 원래 헥섬의 아카 주교가 소유하고 있었으며, 그가 헥섬에서 추방된 후(약 732년) 픽트족 지역으로 가져가 세인트앤드루스에 교구를 세웠다고 한다.

스코틀랜드 국립 박물관의 성 안드레아 조각 (1500년경)


16세기 역사 기록에 따르면, 서기 832년 오엥구스 2세가 픽트족과 스코티족 연합군을 이끌고 현대의 애슬스턴퍼드 근처에서 앵글족과 전투를 벌였다. 수적으로 열세였던 오엥구스는 전투 전날 밤 기도하며 승리하면 안드레아를 스코틀랜드의 수호 성인으로 삼겠다고 맹세했다. 전투 당일 아침, 하늘에 X자 모양의 흰 구름이 나타났고, 이에 용기를 얻은 연합군은 승리했다. 오엥구스는 이 구름을 안드레아가 못 박힌 십자가로 해석하고 약속대로 안드레아를 스코틀랜드의 수호 성인으로 정했다. 하늘색 바탕에 흰색 솔타이어(성 안드레아 십자가)가 그려진 스코틀랜드 국기는 이 전설에 기원을 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스코틀랜드에서 안드레아 숭배는 이보다 더 이른 시기부터 존재했다는 증거가 있다. 위트비 종교회의 이후 켈트 기독교가 약화되면서, 베드로보다 그의 형제인 안드레아를 더 높은 지위의 수호 성인으로 여기려는 경향이 있었을 수 있다. 1320년 아브로스 선언에서는 안드레아를 "최초의 사도"로 언급하며 그에 의해 스코틀랜드가 기독교화되었다고 주장했다. 스코틀랜드 교회를 비롯한 여러 교단의 수많은 교회가 안드레아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로마에 있는 스코틀랜드 국가 교회였던 산탄드레아 데글리 스코체시 역시 성 안드레아에게 헌정되었다.

영국 북부의 전통적인 돌 벽난로. 왼쪽 나무 기둥에 새겨진 성 안드레아의 십자가는 마녀가 굴뚝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한 부적이었다. 라이데일 민속 박물관 소재.


영국 북부와 스코틀랜드의 지역 미신에서는 성 안드레아 십자가를 벽난로에 마법의 부적으로 사용하여 마녀굴뚝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는다고 믿었다. 벽난로 기둥이나 상인방에 성 안드레아 십자가를 놓으면 마녀의 침입을 막을 수 있다고 여겨졌다. 성 안드레아 국립 성지는 에든버러의 세인트 메리 대성당에 있다.[50]

성 안드레아는 부르고뉴 공작들의 수호 성인이기도 했다. 부르고뉴 십자라고 불리는 성 안드레아 십자 형태는 부르고뉴 공국의 깃발로 사용되었으며, 공국이 스페인에 합병된 후에는 스페인 왕실, 스페인 해군 깃발, 그리고 1843년까지 육군 전투 깃발로 사용되었다.[51] 오늘날에도 여러 스페인 군사 휘장과 스페인 국왕 문장의 일부로 남아있다.

스페인에서는 안드레아가 다음 지역들의 수호성인이다:

  • 산 안드레스 (산타 크루스 데 테네리페)
  • 산 안드레스 이 사우세스 (라 팔마)
  • 나발모랄 데 라 마타 (카세레스)
  • 에이바르 (기푸스코아)
  • 바에사 (하엔)
  • 포블라두라 데 펠라요 가르시아 및 포블라두라 데 유소 (레온)
  • 베를랑가스 데 로아 (부르고스)
  • 리게르사나 (팔렌시아)
  • 카스티요 데 바유엘라 (톨레도)
  • 알모라디 (알리칸테)
  • 에스테야 (나바라)
  • 산 안드레우 데 팔로마르 (바르셀로나)
  • 푸할트 (카탈루냐)
  • 아다무스 (코르도바)
  • 카메로스 (라 리오하)의 산 안드레스


요안이 그린 ''사도 안드레아'', 19세기


이 외에도 안드레아는 여러 국가와 도시의 수호성인이다. 대표적으로 바베이도스, 루마니아, 러시아, 스코틀랜드, 우크라이나가 있으며, 도시로는 이탈리아의 사르차나[2], 피엔차, 아말피, 잉글랜드의 펜리스,[52] 포르투갈의 에스게이라, 몰타의 루카, 필리핀의 파라냐케, 그리스의 파트라스 등이 있다. 그는 또한 프로이센과 금양모 기사단의 수호성인이었다. 비잔티움 교회의 창시자이자 초대 주교로 여겨지기 때문에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의 수호성인이기도 하다.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그를 "그리스 세계의 사도"라고 칭하며, 성 베드로의 형제로서 로마와 콘스탄티노폴리스 교구 간의 특별한 관계, 즉 자매 교회임을 상징한다고 언급했다.

스코틀랜드의 국기를 비롯하여 유니언 잭과 옛 대영 제국 식민지 일부 국가의 국기에는 성 안드레아의 X자형 십자가가 포함되어 있다. 이 십자가는 테네리페의 국기, 옛 갈리시아 국기, 러시아 해군 군함기에도 사용된다.[53]

성 안드레아 축일은 동방 교회와 서방 교회 모두에서 11월 30일에 기념하며, 스코틀랜드에서는 공휴일이다.[54] 세인트앤드루스 시 등 일부 스코틀랜드 도시에서는 일주일 동안 축제가 열린다. 가톨릭 교회에서는 대림절이 성 안드레아 축일 또는 그 축일에 가장 가까운 일요일의 첫 저녁 기도와 함께 시작된다.[55] 잉글랜드 교회에서도 11월 30일을 성 안드레아의 축일로 기념한다.[56]

4. 2. 성 안드레아 십자가

전승에 따르면 안드레아는 그리스아카이아 지방 파트라스 시에서 X자 형태의 십자가에 못 박혀 순교했다고 전해진다.[69] 안드레아가 자신이 매달릴 십자가로 X자형 십자가를 선택한 이유는 그리스어로 X가 그리스도(Χριστός)라는 단어의 첫 글자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X자형 십자가는 이후 '''성 안드레아 십자가''' 또는 솔테어(Saltire)라고 불리게 되었으며, 안드레아를 수호 성인으로 하는 인물이나 단체의 문장에 널리 사용된다.

특히 스코틀랜드에서는 성 안드레아 십자가가 국가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16세기 역사 기록에 따르면, 서기 832년 픽트족과 스코티족의 왕 오엥구스 2세가 앵글족과 전투를 벌이기 전날 밤, 승리하면 안드레아를 스코틀랜드의 수호 성인으로 삼겠다고 맹세했다. 전투 당일 아침 하늘에 X자 모양의 흰 구름이 나타났고, 이에 용기를 얻은 오엥구스의 군대는 수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승리했다. 오엥구스는 이 현상을 안드레아가 못 박힌 십자가로 해석하고 약속대로 안드레아를 스코틀랜드의 수호 성인으로 정했다. 이 전설에 따라 하늘색 바탕에 흰색 솔테어가 스코틀랜드의 국기 디자인으로 채택되었다고 한다.[49] 다만 스코틀랜드에서 안드레아를 숭배한 것은 이 전설 이전부터라는 증거도 있으며, 1320년 아브로스 선언에서는 안드레아를 "최초의 사도"로 언급하며 그에 의해 스코틀랜드가 기독교화되었다고 기술했다. 스코틀랜드의 국기는 성 안드레아의 X자형 십자가를 특징으로 한다.[53]

러시아에서도 안드레아는 수호 성인으로 여겨지며, 러시아 해군 기는 흰색 바탕에 파란색 성 안드레아 십자가를 사용한다.[53] 러시아에는 '성 안드레이 페르보즈반니 훈장'(орден Святого Андрея Первозванногоru)이라는 이름의 훈장도 존재한다.

안드레아는 부르고뉴 공작들의 수호 성인이기도 했다. 부르고뉴 공작 필리프 3세 선량공은 안드레아를 수호 성인으로 하는 금양모 기사단을 창설하고, 흰색 바탕에 붉은색 성 안드레아 십자가를 기사단과 공국의 깃발로 삼았다. 이 깃발 형태는 부르고뉴 십자라고 불리며, 부르고뉴 공국이 스페인에 합병된 후 스페인 왕실, 해군 깃발, 육군 전투 깃발(1843년까지) 등으로 사용되었다.[51] 오늘날에도 다양한 스페인 군사 휘장과 스페인 국왕 문장의 일부로 남아 있다.

이 외에도 성 안드레아 십자가는 테네리페의 국기, 옛 갈리시아의 국기 등에도 사용된다.[53] 영국 북부와 스코틀랜드의 지역 미신에서는 성 안드레아 십자가를 벽난로에 마법의 부적으로 새겨 마녀가 굴뚝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는 용도로 사용하기도 했다.

4. 3. 기념

동방 정교회는 교회력에서 여러 날에 사도 안드레아를 기념한다. 고정된 기념일은 다음과 같다.

  • 6월 20일 - 사도 안드레아, 토마스, 누가의 유물 이송; 예언자 엘리사; 그리고 순교자 라자루스.
  • 6월 30일 - 열두 사도.
  • 9월 26일 - 1964년 안드레아의 두개골 이송.
  • 11월 30일 - 주요 축일.


이동 축일도 있다.

  • 11월 30일 전 주일 - 아카이아의 성인들의 합동 축일.
  • 사마리아 여인의 주일 - 콘스탄티노플의 모든 성부, 대주교, 총대주교의 합동 축일.


로마 가톨릭교회는 11월 30일에 안드레아를 기념한다.[41] 잉글랜드 교회에서도 11월 30일 축일로 기억된다.[56] 가톨릭 교회에서는 대림절이 성 안드레아 축일에 해당하는 또는 가장 가까운 일요일의 첫 번째 만과 함께 시작된다.[55] 성 안드레아 축일스코틀랜드에서는 공휴일이며,[54] 세인트 앤드루스 시와 다른 몇몇 스코틀랜드 도시에서는 일주일 동안 축하 행사가 열린다.

안드레아는 여러 국가와 도시의 수호성인으로 여겨진다. 국가로는 바베이도스, 루마니아, 러시아, 스코틀랜드, 우크라이나 등이 있으며, 과거 프로이센의 수호성인이기도 했다. 도시로는 이탈리아의 사르차나[2], 피엔차, 아말피, 잉글랜드의 펜리스,[52] 포르투갈의 에스게이라, 몰타의 루카, 필리핀의 파라냐케, 그리스의 파트라스 등이 있다.

또한 비잔티움 교회의 창시자이자 초대 주교로 여겨지며, 그 결과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수호성인이다.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그를 "그리스 세계의 사도"라고 불렀으며, 성 베드로의 형제이자 로마의 초대 주교인 점을 들어, 두 형제의 관계가 "로마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교구 사이의 특별한 상호 관계, 즉 진정한 자매 교회임을 상징적으로 표현한다"고 언급했다. 그는 또한 금양모 기사단의 수호성인이었다.

안드레아가 순교할 때 사용된 X자형 십자가는 '성 안드레아 십자'라고 불리며 그의 상징이 되었다. 이 십자가 문양은 스코틀랜드의 국기 (파란 바탕에 흰색 십자가)에 사용되었고, 이는 결과적으로 유니언 잭대영 제국의 일부 옛 식민지 국기에도 영향을 미쳤다. 또한 테네리페의 국기, 옛 갈리시아의 국기, 러시아 해군 기 (흰색 바탕에 파란색 십자가)에도 사용된다.[53] 부르고뉴 공작 필리프 3세 선량공은 안드레아를 수호 성인으로 하는 금양모 기사단을 설립하고, 흰색 바탕에 빨간색의 성 안드레아 십자가를 기사단 및 공국의 깃발로 사용했는데, 이는 이후 스페인 및 남네덜란드에서도 사용되었다. 러시아에는 '성 안드레이 페르보즈반니이 훈장'(Орден Святого апостола Андрея Первозванногоru, Order of St. Andrew the Apostle the First-called)이라는 최고 등급의 훈장도 존재한다.

참조

[1] 간행물 "St. Andrew"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19-05-28
[2] 웹사이트 Cattedrale di Sarzana https://www.cattedra[...]
[3] 웹사이트 HISTORY: The Church before it became a Cathedral: 1571 https://manilacathed[...] 2024-11-19
[4] 웹사이트 Dukhrana – Andreas/Andrew/ܐܢܕܪܐܘܣ https://dukhrana.com[...] 2024-11-19
[5] 웹사이트 BBC – History – St Andrew https://www.bbc.co.u[...]
[6] 간행물 Apostolic Succession of the Great Church of Christ http://www.patriarch[...] Ecumenical Patriarchate 2014-12-15
[7] 문서 MacRory, Joseph. "St. Andrew." The Catholic Encyclopedia https://www.newadven[...]
[8] 간행물 St. Peter, Prince of the Apostles http://www.newadvent[...] The Catholic Encyclopedia 1911
[9] 웹사이트 Saint Andrew https://www.bbc.co.u[...] BBC 2009-07-31
[10] 웹사이트 Butler, Alban. ''The Lives of the Fathers, Martyrs and Other Principal Saints'', Vol. III http://www.ewtn.com/[...] 2024-11-19
[11] 웹사이트 General Audience of 14 June 2006: Andrew, the "Protoclete" | Benedict XVI https://www.vatican.[...]
[12] Bible Bible: Matt 4:18–22
[13] Bible Bible: Mark 1:16–20
[14] Bible Bible: Luke 5:1–11
[15] Bible Bible: Luke 5:7
[16] Bible Bible: Luke 6:14
[17] 문서 Matthew Poole's Commentary https://biblehub.com[...] 2024-11-19
[18] 웹사이트 Bible Gateway passage: John 1:40-42 - New International Version https://www.biblegat[...] 2023-10-16
[19] 웹사이트 National Shrine of St Andrew in Edinburgh Scotland https://www.stmarysc[...] Stmaryscathedral.co.uk 2024-11-19
[20] 웹사이트 "Saint Andrew", Franciscan Media https://www.francisc[...] 2020-11-30
[21] 웹사이트 "St. Andrew, Apostle" Vatican News https://www.vaticann[...]
[22] 웹사이트 Οικουμενικό Πατριαρχείο https://ec-patr.org
[23] 문서 Monumenta Germaniae Historica
[24] 서적 Acta Andreae Association pour l'étude de la littérature apocryphe chrétienne (Turnhout: Brepols) 1989
[25] 문서 Church History (Book III), Chapter 25:7 https://www.newadven[...]
[26] 웹사이트 Christianizing Homer http://www.oup.com/u[...] 2022-11-30
[27] 문서 St. Andrew, Christ's First-Called Disciple, Pemptousia https://pemptousia.c[...]
[28] 웹사이트 St. Andrew in the National Archives of Scotland http://www.nas.gov.u[...] Nas.gov.uk 2011-11-23
[29] 뉴스 Pope Returns a Relic of Apostle To Greeks After Five Centuries; Cardinal Bea Carries Object Venerated as St. Andrew's Skull to Port of Patras https://www.nytimes.[...] 1964-09-27
[30] 웹사이트 Η ΤΙΜΙΑ ΚΑΡΑ ΤΟΥ ΑΠΟΣΤΟΛΟΥ ΑΝΔΡΕΟΥ ΤΟΥ ΠΡΩΤΟΚΛΗΤΟΥ http://i-m-patron.gr[...]
[31] 웹사이트 La croix de Saint André http://vexil.prov.fr[...] Vexil.prov.free.fr
[32] 웹사이트 Abbaye Saint-Victor de Marseille, monuments historiques en France (in French) http://monumentshist[...] Monumentshistoriques.free.fr
[33] 뉴스 Relic of St. Andrew Given to Greek Orthodox Church http://zenit.org/art[...] Zenit News Agency 2006-02-27
[34] 웹사이트 June 20, 2017. + Orthodox Calendar https://orthochristi[...]
[35] 웹사이트 Αποστολική Διακονία της Εκκλησίας της Ελλάδος https://apostoliki-d[...]
[36] 웹사이트 Synaxis of the Holy, Glorious and All-Praised Twelve Apostles https://www.oca.org/[...] 2023-04-30
[37] 웹사이트 www.synaxaristis - ΜΕΓΑΣ ΣΥΝΑΞΑΡΙΣΤΗΣ https://www.synaxari[...] 2023-04-30
[38] 웹사이트 Apostle Andrew, the Holy and All-Praised First-Called https://www.oca.org/[...] 2023-04-30
[39] 웹사이트 Synaxis of the Achaean Saints https://www.johnsani[...] 2010-11-28
[40] 웹사이트 Synaxis of All our Holy Fathers, Archbishops and Patriarchs of Constantinople https://www.johnsani[...] 2023-04-30
[41] 서적 Martyrologium Romanum Vatican Publishing House
[42] 웹사이트 Apostolos Andreas Monastery, Karpaz, North Cyprus http://whatson-north[...] Whatson-northcyprus.com 2024-11-19
[43] 웹사이트 "Feast of St. Andrew", Visit Malta, Malta Tourism Authority https://www.visitmal[...] 2022-11-30
[44] 서적 History and Myth in Romanian Consciousness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45] 서적 Dacia: un mileniu de istorie Ed. Acad. Române 2010
[46] 문서
[47] 간행물 Zalmoxis, The Vanishing God 1974-12
[48] 문서
[49] 서적 St. Andrew's Church Anateya 2006
[50] 웹사이트 "Shrine to Saint Andrew", Atlas Obscura https://www.atlasobs[...] 2022-11-30
[51] 웹사이트 "The Cross of Burgundy or St. Andrew Flag (The Flag of the Viceroyalty of New Spain)", U.S. District Court, District of Puerto Rico https://www.prd.usco[...] 2022-11-30
[52] 서적 The History and Antiquities of Leath Ward - In the County of Cumberland: with Biographical Notices and Memoirs Creative Media Partners, LLC 1840
[53] 웹사이트 Федеральный закон от 29 декабря 2000 г. N 162-ФЗ " О знамени Вооруженных Сил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знамени Военно-Морского флота, знаменах иных видов Вооруженных Сил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и знаменах других войск" https://rg.ru/2000/1[...] 2021-03-10
[54] 웹사이트 Text of the Act, Office of Public Sector Information, National Archives https://www.legislat[...] www.legislation.gov.uk 2010-07-16
[55] 웹사이트 "Liturgical Notes for Advent", USCCB https://www.usccb.or[...] 2022-11-30
[56]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2021-03-27
[57] 서적 Masaccio: Saint Andrew and the Pisa Altarpiece Getty Publications 2003
[58] 문서 Hans Holbein the Younger: The Basel Years, 1515–1532 Prestel 2006
[59] 문서 マルコによる福音書(口語訳)#1:16-18
[60] 문서 ヨハネ1:40
[61] 문서 ヨハネ6:8
[62] 문서 ヨハネ12:22
[63] 문서 마르코복음 1:29
[64] 문서 요한복음 1장 29절
[65] 문서 마태복음 4장 18-19절
[66] 문서 마태복음 4장 20절
[67] 문서 마르코복음 13장 3~4절
[68] 문서 요한복음 6장 8~9절
[69] 문서 요한복음 12장 20~22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